'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 또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그 시기를 말하는 것이 바로 '경칩' 입니다.
오늘은 24절기 중 세번째인 경칩의 뜻과 유래, 속담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칩(驚蟄)은 놀랄 경, 숨을 칩으로 동면하던 동물이 땅속에서 깨어난다는 뜻입니다. 24절기 중 세번째에 이며, 계칩(啓蟄)이라고도 하는데요. 양력으로 3월 6일 무렵, 음력으로 2월 중쯤이 경칩입니다.
이 쯤에 내리는 비는 천둥 번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옛 사람들은 천둥 소리가 잠자던 벌레들을 놀라 깨우게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도 겨울잠에서 깨어나는데요. 보리, 밀, 시금치, 우엉처럼 겨울을 견디는 식물들이 자라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농부들이 바빠지는 시기라고 합니다.
경칩의 유래는 '한서(漢書)'에 따르면 경칩이라는 말은 처음에는 열 계(啓)자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蟄)자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한(漢)무제의 이름 계(啓)자가들어가서, 놀랠 경(驚)자를 써서 경칩(驚蟄)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한편 경칩에 관한 다른 기록들을 보면 '동의보감(東醫寶鑑)' 에서는 “겨울잠자던 동물은 음력 정월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고 음력 9월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입동(立冬)에 해당한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성종실록(成宗實錄)'에서는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나와있는데요. 2월의 우수와 3월의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우수(雨水, 양력 2월 18일경)와 경칩(驚蟄, 양력 3월 5일경)이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진다는 뜻.
우리나라 북쪽인 평양 대동강에는 봄이 늦게 오지만 경칩이면 거기도 얼음이 녹고 날이 풀린다고 하는데요.
경칩에 우리나라 전역의 겨울이 물러나고 봄기운이 완연해진다는 말 입니다. 우리 가사(歌辭) ‘수심가(愁心歌)’에 “우수 경칩에 대동강이 풀리더니 정든 님 말씀에 요 내 속 풀리누나.” 하는 대목이 있다고 합니다.
<경칩 지난 게로군. >
경칩(驚蟄)이 되면 벌레가 입을 떼고 울기 시작하듯 입을 다물고 있던 자가 말문을 열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경칩은 땅 속에 들어가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바다의 게도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경칩이 되면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이를 빗대어 마치 겨울잠 자는 듯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던 사람이 말을 하기 시작했을 때 사용하는 속담입니다.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森羅萬象)이 겨울잠을 깬다.>
겨울이 지나가고 산천초목이 깨어나 봄맞이 준비를 함을 이르는 말.
경칩은 겨울내내 자고 있던 동물이 깨어나고, 나무에서는 잎이 돋아나는 시기입니다. 한마디로 모든 생명이 약동하는 시기인 봄의 상황을 직접 일컫는 말입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와 구독을 눌러주세요.
에크모뜻 (1) | 2020.02.23 |
---|---|
화이트데이 뜻 의미와유래 (4) | 2020.02.22 |
'코로나19' 이름, 명칭의 뜻과 의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공식 명칭 COVID-19> (2) | 2020.02.15 |
디지털 유목민? '디지털 노마드' 무슨 뜻일까? (2) | 2020.01.31 |
호주 산불 속 귀여운 동물영웅 '웜뱃' (feat. 네모 똥) (1) | 2020.01.27 |